유산소 운동 추천, 종류

에디터 이민성


유산소 운동 추천, 종류

많은 사람들이 심폐지구력을 기르거나 체지방 연소 등의 목적으로 유산소 운동을 합니다. 무산소 운동과 달리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사용해야 하며 체내 지방과 글리코겐을 연소시킬 수 있는 강도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유산소 운동으로는 달리기, 사이클, 줄넘기, 수영, 버피 테스트 등이 있으며 무산소 운동 또한 저중량 고반복, 숨이 헐떡이는 정도의 복합 다관절 운동 등으로 유산소 운동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목차
유산소 운동 추천

유산소 운동 추천

많은 유산소 운동 종류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심폐지구력 향상이나 다이어트 등의 목적에 따라 추천하는 종류가 다릅니다. 현재 자신의 상황과 목적에 따라 종류를 다르게 해 주기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유산소 운동의 목적이 다이어트라면 열량 소모가 많은 달리기(조깅), 수영, 자전거 등을 진행하는 것이 좋으며 심폐지구력 향상 목적이라면 달리기(인터벌 트레이닝), 빠른 자전거 등을 진행하고 관절이 안 좋거나 체력이 약하다면 파워워킹, 수영 등의 운동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산소 운동 종류

다양한 유산소 운동 종목이 있지만, 종목에 상관없이 주기적으로 하루 10~20분 정도의 운동을 하게 되면 심폐지구력이 향상되어 심혈관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우울감 해소, 스트레스 완화 등의 효과도 볼 수 있습니다.

유산소 운동 추천 - 걷기

1. 걷기

그냥 가볍게 걷는 것은 유산소 운동에 큰 효과가 없으며, 숨이 찰 정도의 강도 있는 파워워킹으로 10분에서 20분 정도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무리하지 않게 걷다가 쉬기를 반복하면서 한 시간 정도 진행하면 더욱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지방 연소 속도는 느리지만 관절이나 하체에 큰 무리가 가지 않아 노인들도 쉽게 할 수 있는 유산소 운동입니다. 주기적인 파워워킹은 느리지만 건강하게 체지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스트레스 완화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달리기

모든 유산소 운동의 대표적인 종목으로 시속 6km 정도의 천천히 달리는 조깅이나 시속 10km로 이상의 속도로 빠르게 달리는 것이 있습니다. 다양한 종류의 유산소 운동 중 많은 사람들이 쉽게 할 수 있으며 최대한 곧은 자세, 숨이 차는 정도의 강도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처음에 달리는 속도가 나지 않아도 뛰고 걷기를 반복하면서 진행하되 달리기의 비중을 점차 늘려가는 방식으로 한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달리기는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고 불면증 개선, 긴장 완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인터벌 형식의 달리기 훈련은 큰 심폐지구력 향상과 지방 연소 등 최고의 유산소 운동 종류로 꼽히기도 합니다.

유산소 운동 추천 - 수영

3. 수영

전신을 사용하며 물의 저항을 받는 운동으로 유산소 운동 중 열량 소모가 가장 많은 운동입니다. 물에서 진행하기 때문에 다리나 허리 등에 체중이 실리지 않아 관절의 부담이 적어 남녀노소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또한 열량 소모가 많아 다이어트 및 체지방 감소에도 가장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온도가 낮은 곳에서 장시간 수영을 한다면 열량 소모가 많아져 쉽게 배고픔을 느낄 수 있으며 이는 곧 폭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수영을 시작한 지 얼마 안 됐다면 수온이 높은 곳에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자전거

자전거는 유산소 운동 중 무릎이나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고 하체 힘을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근육인 하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열량 소모도 크며 심폐지구력 향상, 체지방 감소 효과를 골고루 볼 수 있습니다.

하루 20분 정도 진행하며 다리에 큰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빠르게 패달을 밟았다가 쉬고 밟았다가 쉬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산소 운동 추천 - 줄넘기

5. 줄넘기

무릎이 안 좋은 것이 아니라면 어디에서든 줄넘기만 있으면 남녀노소 누구나 할 수 있는 유산소 운동입니다.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며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가볍게 뛰면서 진행합니다. 오랜 시간 팔을 사용하면 쉽게 지칠 수 있기 때문에 손목 스냅을 이용해 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6. 등산

산에 오르며 맑은 공기를 마실 수 있고 다양한 환경을 접할 수 있어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우울감을 해소하거나 심리적인 안정감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다만 험난한 지형에서의 등산은 하체 근육에 무리가 가거나 부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되도록 정상적인 등산로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련 게시글

효과적인 유산소 운동 시기는 언제일까?
달리기 효과, 하루에 얼마나 달려야 할까?
공복운동 기준과 효과, 단점